목조주택시공과정 중 내부 방의 마감 석고보드를 위한 니부(4.8mm) 합판 시공 및 석고보드 마감을 직접 해본 뒤 작업의 자세한 설명과 각 과정에서의 유의할 점, 팁 등의 기록입니다.
목조주택시공 중 큰 분류로 골조 시공이 끝나고 방수시트 작업이 끝나면 내부에 비가 들어오지 않는 상태를 완성한 뒤 스터드(벽체의 나무 골조 기둥) 사이사이에 보온단열재를 넣고 나면 본격적인 내부 마감작업이 시작이 됩니다. 이 작업 이후 완성된 부분에서부터 계단의 마감, 벽체의 최종 마감 내부 각 방의 문들의 시공 및 마감 내부 창틀의 마감, 방 천장의 테두리 몰딩, 화장실의 타일 마감 등의 최종인 테리어 작업이 동반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석고보드와 니부(4.8mm) 합판을 시공할 때는 보통은 422 타카를 사용하고 관급공사와 같은 경량 철물 스터드의 경우에는 피스를 사용합니다. 내부 합판을 OSB(Oriented standard board)를 쓴다면 프레임 네일러로 64mm 못을 사용하여 작업합니다.
- 막간 현장 용어설명
니부 합판은 일본어에서 온 현장 용어입니다. 점차 우리말로 바꿔야 할 말이지만 현장에서는 오래일 하신 분들이 자주 쓰시는 말로 전문용 어화 되어있으니 알아두면 좋습니다.
일본어로 숫자를 1,2,3,4,5 이찌, 니, 산, 욘, 고 등으로 진행이 되고 합판의 두께는 약 3mm, 6mm, 9mm, 12mm로 3의 배수로 진행이 됩니다(실제 두께는 3/16인치, 6/16인치인데 이 인치의 mm수치가 약 3mm인 2.7mm 그리고 4.8mm가 6mm 등입니다.) 이점을 알아두시면 이해하기 좋습니다. 정확한 수치보다는 통상사용되는 용어이니 인지만 하고 있으면 될 듯합니다. 현장 쓰이는 용어들은 그 팀이나 팀장, 사장에 따라 달라서 이것을 왜 이렇게 부르는지는 이해하면서 소통이나 일의 진행은 무리 없게 하시고 앞으로는 우리말로 사용을 하면 되겠습니다.
합판의 사이즈
현장에서 합판의 사이즈를 말할 때 48, 36으로 부릅니다. 이것은 가로세로 인치 사이즈를 말하는데 인치자로 정확히 가로길이 4인치, 세로 길이 8인치입니다. 1200mm, 2400mm로 통상하지만 실제 재보면 1220mm, 2440mm이 나옵니다. 목주 주택현장에서는 인치자를 자주 사용하고 각 수입자재의 규격이 인치로 재단이 되어있는 자재가 많아 인치자의 사용법은 필수입니다. 추후에 자세히 포스팅하겠습니다.
시공의 순서나 상황, 각 시공자의 스타일에 따라 천장을 한 뒤 벽체를 하는 방법, 벽체의 바닥부터 수평을 잡고 올라가서 천장을 마감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각 방법을 쓰는 여러 현장을 경험해보고 각각의 장단점을 느껴 본 뒤 본인의 스타일이나 본인이 더 빠르고 정확하다 느끼는 방법을 쓰시면 됩니다. 각 장단점이 파악이 되어있다면 각 현장의 상황에 따라 시공순서나 방법을 달리하여 적용하면 훨씬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합니다.
시공전 체크리스트와 보조장비들
우마(보조 작업대)나 사다리 등 천장이나 벽체의 윗부분을 시공할 수 있는 보조장비가 필요합니다. 계단의 벽체나 개구부의 벽체 등을 시공할 때는 높은 단수의 양쪽 다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시공할 자리 나 자재의 접합 부분에 목공 본드를 도포하여 부착면과 밀착이 잘 되게 합니다.
시공이 될 부분의 위아래 자재가 붙을 양쪽 끝과 끝부분의 수직 수평을 휴대용 작은 사이즈의 수평대로 수시로 확인하고 긴 사이즈의 수평대로 전체적인 스터드의 휨 상태를 확인하여 필요조치 후 시공하여 마감의 퀄리티를 높여줍니다.
자재가 붙을 부착면에 튀어나온 콧등을 망치로 단속(단속)하여 합판이 깨지거나 부착면이 울렁거리는 것을 막아줍니다.
- 고정형 T자나 자유 각도 자
이 자유 각도자나 고정형 자가 있으면 숙련도에 따라 작업 효율이 상승합니다. 주로 사용한 단위에 따라 mm표기 inch표기를 확인하고 구매해야 합니다. 지붕모양에 따라 박공지붕은 그 내부에서도 각도를 측정하여 잘라야 하는데 이 자유 각도자가 있으면 그런 부분에 대처하기 용이하고 o점과 90도를 맞춰 세팅해 놓으면 수치 측정과 정확한 수직 수평 절단을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벽면 위에서부터 시공하는 경우
천장의 합판, 석고보드를 마감한 뒤 그 면을 기준으로 맞추어 내려가는 방식입니다. 처음부터 보조 사다리, 작업대를 이용해 천장 작업을 끝낸 뒤 방의 육면체의 윗부분 각 모서리선이 자재의 면은 수평한 것으로 간주, 기준하여 그면에 수평 기준을 잡아 접점을 맞추어 원본 자재(재단하지 않은 사이즈)로 연결시켜 내려와 바닥의 마감 부분은 재단하여 마감합니다. 이때 바닥과의 접선은 걸레받이 시공 유무에 따라 정확히 맞춤이나 그 외에 상황에 따라 여유 있게 시공합니다.
벽면 아래에서부터 시공해 올라가는 경우
바닥의 마감 라인에 못 들을 1/3만 박아 합판이나 석고보드를 올려놓기 쉽게 세팅을 한 뒤 방의 육면체의 한 코너에 수직 바닥에서의 수평을 수평대로 맞추워 처음 시작을 하여 위쪽과 옆쪽으로 붙여나가는 방법입니다. 마찬가지로 천장과의 접선은 몰딩의 시공 유무에 따라 여유를 맞춤이나 상황에 맞추어 시공합니다.
'목수 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조 주택 시공 모임지붕 방수시트 붙이기 (0) | 2022.09.06 |
---|---|
목조주택시공기록-히노끼(편백나무)루바 시공기록 (0) | 2022.07.02 |
목조주택시공-골조작업 기초레이아웃 (0) | 2022.06.15 |
목조주택시공-파벽돌시공 (0) | 2022.06.14 |
굴착기 국가기능사 시험 필기, 실기 등록부터 시험시 꿀팁. 다른 컨텐츠에는 없던 팁이있는 시험 체험기록 (0) | 2022.06.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