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랭글러 정비 튜닝 기록

포드 bronco 브롱코 DIY 튜닝 - 베스탑 선라이더 1열 소프트탑 설치 쉬운 설명 루프렉 제거

by wokermaris 2022. 10. 7.
반응형

2022.09.29 - [자동차 디테일링 기록] - 브롱코 블랙 출고 후 첫 셀프 세차 - 브롱코 디테일링 정보 1편

 

 

 미국의 유명 소프트탑 제조 업체인 베스탑(www.bestop.com)에서 제작된 브롱코 전용 1열 선라이더, 1열 소프트탑을 DIY 설치하였습니다. 한국에는 아우터뱅크스 옵션만이 수입되는 상황이라 루프렉을 제거해야 해당 상품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 과정 중에 주의하여할 사항들을 포스팅합니다.

 

반응형

 

루프렉 제거하기

  • 준비물

육각 비트, 별 모양 비트(브롱코 수공구 케이스에 있는 것), 육각 소켓 렌치10mm, 삼각 소켓 렌치 (브롱코 수공구 케이스에 있는것)

브롱코 루프렉 제거 순서
전면부터 후면까지 결합되어있는 나사를 제거해준다

전면부 유리에 있는 나사 좌우 각각 두 개씩, 전면부 유리위 나사 좌우각각 두개 그리고 후면부의 삼각형 볼트를 제거하면 루프렉 전체가 들썩입니다, 전면부는 바로 들리고 후면부는 뒤쪽 루프에 걸쇠가 걸려있어 이를 잡아당기며 해체합니다. 무게가 매우 무겁기 때문에 가로바를 제거하지 않은 조립상태로 해체하려면 성인 2명이 있어야 작업이 수월합니다. 가로바 앞 뒤 각각 한 개를 해체하려면 가로바가 결합되어있는 커버를 제거 후 별 모양 비트 볼트를 제거하면 해체할 수 있고 각각 분리된 루프렉 부분들은 해체해서 들어 올리기가 수월해 혼자 작업이 가능합니다.

루프렉 나사 제거
육각 나사 제거

브롱코 구입 시 동봉되어있는 공구가방에 이를 해체할 수 있는 렌치와 규격에 맞는 비트가 들어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루프렉을 해체할 수 있습니다.

루프렉제거후 남은자리루프렉제거후 커버씌운 모습
루프렉을 제거한뒤 커버를 장착한 모습

 루프렉을 제거하면 전면부 루프렉을 고정했던 볼트 자리에 빈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볼트 자리를 맞춰 본 뒤 커버를 좌우 구분하여 장착해 줍니다.

브롱코 루프렉이 장착된 모습루프렉이 제거된 후 브롱코
순정 루프렉이 장착 전후

 

베스탑 선라이더 설치

 

 설치를 시작하기 전에 해석은 어렵더라도 본사의 설치 동영상을 여러 번 보면서 익히는 것을 추천합니다. 결합해야 하는 나사의 위치, 설치 순서, 제품을 차체에 올릴 때 작업을 편하게 해주는 팁들이 설명됩니다. 또한 규격에 맞는 비트와 소켓들을 미리 준비해서 작업이 끝까지 완료될 수 있게 해야 합니다. 또한 2 도어와 4 도어의 설명이 다르니 이를 잘 확인해야 합니다.

 

 

선라이더 설치 설명 영상

1. 1열 하드탑 제거

브롱코 하드탑 제거 내부모습브롱코 하드탑 보관가방
하드탑을 제거한뒤 전용 보관가방에 넣어 보관

 랭글러와 달리 브롱코는 하드탑을 제거할 때 나사를 돌려서 제거할 필요 없이 원터치 고정장치로 되어있어 좌석에 앉은 채로 원터치 버튼을 90도 회전시켜 고정을 풀 수 있습니다. 하드탑은 운전석 파트와 조수석 파트로 나눠져 있습니다. 운전석을 먼저 제거 후 조수석을 제거합니다. 처음에는 두 명이서 한 명은 안쪽에서 양손으로 들어 올려주고 한명은 바깥에서 받아주면 작업이 수월합니다. 익숙해지면 혼자 분리할 때는 안쪽에서 들어올려 분리시킨 뒤 차에서 내리며 오른손은 하드탑을 받치고 왼손은 바깥쪽에서 하드탑을 잡아 탈거해냅니다. 분리된 루프탑은 손상이 되지 않도록 전용 보관 가방에 넣어 보관합니다. 하드탑이 무겁고 원터치 버튼이 튀어나와 가방에 두 가지 모두 가방에 넣기 불편하니 운전석과 보조석을 겹치게 세워준뒤 가방을 거꾸로 씌워주면 편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1. 설치 1단계 기존 볼트 제거

나사해체해체해야하는 나사 위치
선라이더를 올리기전 해체해야하는 나사 좌우각각 두개

  • 볼트 보관 팁

사전 작업으로 제거한 볼트 중 전면부는 다시 재사용하게 됨으로 근처에 놓는 것이 좋은데 와이퍼가 연결되어있는 후드의 빈 공간에 올려두면 분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초록색으로 표시한 것이 해당 부분에서 해체한 뒤 다시 사용할 별 모양 볼트이고 파란색 원으로 표시한 것이 탈거한 볼트의 뒷부분에 들어갈 빈 공간을 채워줄 스페이서와 변경된 길이에 적합한 길이가 긴 볼트, 볼트의 헤드와 제품 간의 압력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입니다.

대쉬보드 빈공간에 보관한 볼트와 와셔
소중히 다뤄야할 볼트들

2. 설치 2단계 선라이더 제품 결합

선라이더 고정대에 작동부분 고정시키는 위치
이 부분을 소홀히 한다면 제품을 다 뜯었다가 다시 설치해야 할걸세 나처럼

 아주 중요한 부분입니다. 제조사에서는 분명히 주의 산만한 고객들을 엿먹이기 위해 만들어 놓은 잘못 넣어도 얼추 맞는 느낌이 나는 나사 홀이 있어 앞뒤를 잘 확인하고 조립을 해야 합니다. 정확히는 소프트탑이 접혀서 쌓이는 초록색 큰 원으로 표시한 부분이 뒤쪽인데 뒤쪽에서 첫 번째 볼트 결합부분을 먼저 결합합니다.(손으로 돌려서 자리만 잡고 완전히 강하게 체결하지 않음) 그리고 하나 건너 있는 결합부분에 너트 구멍이 자리잡으면 마저 결합합니다. 흰색 동그라미로 표시한 두개의 홀 부분에 장착을 하고 x표시 된 부분은 X 입니다 그곳에 장착하면 다 완성되고 난 뒤에 소트탑이 닫히지 않아 여러분의 소중한 시간이 박살나게 됩니다.(실제로 완성한뒤 소트탑이 닫히지 않아 처음엔 빡빡하다는 말을 까페에서 줏어듣고 힘으로 닫으려다 다 부셔버릴뻔 함) 동영상에도 꼭 뒷쪽에서 첫번째 홀부터 장착을 하고 결합을 하라고 설명되어있지만 새 제품을 장착한다는 즐거움 때문에 흥분하여 일을 그르칠 수 있습니다.(아님 나만 띨띨해서 그런 거임)

 

3. 설치 3단계 소프트탑 본체와 자동차 프레임 지지대 결합하기

브라켓을 선라이더 본체에 결합하기
좌우구분만 하여 보이는 곳에 결합하면 별 문제가 없는 과정

 소프트탑이 접혀있는 곳을 뒤쪽으로 기준을 잡고 결합할 지지대를 결합해 줍니다. 이 부분에서는 심각하게 주의할 부분은 없습니다. 좌우가 맞지 않으면 볼트를 조여야 하는 부분이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꼭 사고를 치지 않으면 이상한 분들이 있기에 뭔가를 조립할 때의 팁을 알려드립니다. 이런 과정에서는 부품을 설치가 될 곳에 먼저 대 보는 것이 좋습니다. 완성됐을 때의 모습을 머릿속으로 그려 볼 수 있고 이 과정을 거치면 좌우나 위아래 같은 모양이 부품이 들어가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를 구별해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최종적으로는 꼭 제품과 함께 동봉된 설명서나 설치 동영상과 비교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습니다.

 

4. 설치 4단계 선라이더 소프트탑 전체 올리기

선라이더를 장착한 모습
선라이더 소프트탑을 올린뒤 볼트를 결합해 장착한다

 사전작업으로 사이드미러를 접고 안테나를 제거해 두면 선라이더를 올릴 때 걸리적거리지 않아 좀 더 수월한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소프트탑이 접힌 방향을 뒤로 두고 차량의 측면 양쪽에서 한 사람씩 잡습니다. 차량의 앞쪽에서 제품 본체가 후드 위, 전면 유리를 지나가게 하여 올려줍니다.(제품 설치 영상에 직원이 직접 시연한 방법) 결합할 볼트가 들어갈 홀을 결합 부분에 위치시키고 바로 볼트를 고정하지 않아도 올려놓으면 떨어지지 않으니 볼트를 고정시키는 작업을 할 때에는 두발 지지할 곳과 한 손으로 차량의 프레임을 지지할 곳을 확실히 해두어 미끄러져서 다치는 일이 없게 합니다. 1열 문을 열어두고 도어 스텝과 1열 바닥을 나누어 밟고 한 손은 차량의 위쪽 프레임을 안듯이 감아서 잡아 몸을 지지하면 좋습니다. 제품을 올리고 제품의 뒷부분, 2열과 만나는 부분에 있는 양면테이프를 볼트 결합 전에 제거해 줍니다. 양면테이프가 있는 부분은 2열 루프탑의 앞부분 물이 새지 않도록 패킹된 고무부품과 붙습니다.

볼트와 와셔, 스페이서스페이서가 들어갈 빈 공간
새 제품으로인해 비어있는 공간에 들어갈 스페이서와 고정시킬 볼트

 후드에 정리해 두었던 볼트와 스페이서를 준비하여 해당 부분에 결합해 줍니다. 초록색으로 표시한 부분에 동그란 도넛 모양의 스페이서를 넣어주고 볼트로 구멍을 맞춰 끼워줍니다. 해당 작업을 할 때 스페이서만으로는 고정이 되지 않으니 한 손으로 스페이서를 잡고 다른 손으로 볼트를 넣어 구멍을 맞춰주면 수월한 작업이 됩니다. 해당 작업을 하다 칠칠이는 분명히 부품을 떨어뜨리게 되는데 스페이서를 떨어뜨리는 순간에는 온신경을 집중하여 떨어지는 곳을 보고 소리를 듣고 부딪힌 곳을 예상하여 반드시 찾아내야 합니다. 동봉된 제품이 여유분이 없습니다. 또한 이런 사고 대처를 원활히 하기 위해 설치 장소는 부품이 떨어져도 쉽게 찾을 수 있는 평평하고 배수, 하수구가 없는 곳을 선택합니다.

차량 실내 고정브라켓 설치하기
원터치 버튼 고정부분 볼트 제거

기존 원터치 버튼의 고정지지대 부분의 볼트 네 개 중 안쪽 볼트 두 개를 제거한 뒤 H형상의 고정 브래킷을 설치합니다. 설명서에는 탈거한 볼트를 해당 위치에 그대로 장착하라고 되어있지만 마감의 문제인지 깊이가 맞지 않아 사용이 불가능했습니다. 근처 철물점에 가서 길이가 좀 더 긴 볼트로 구입해 장착하셔도 이상 없습니다. 

브롱코 소프트탑 설치완료 실내모습
1열 소프트탑이 설치 완료된 실내
1열 소프트탑 설치 오픈,클로즈 외부모습
선라이더 소프트탑 오픈, 클로즈 비교모습

 실내 브래킷까지 고정하면 설치가 완료됩니다. 제품을 여닫을 때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있는 두 개의 고정장치를 조작하여 열고 닫습니다. 고정장치에는 소프트탑과 본체를 연결하는 갈고리와 그것을 고정시키는 손잡이가 있습니다. 손잡이를 제치면 소프트탑이 열리며 약간의 틈이 생기는데 이때 소프트탑과 본체를 한 손으로 잡고  움켜쥐듯이 다시 닫은 뒤 손잡이 가운데에 위치한 갈고리를 눌러 걸쇠에서 제거하면 열립니다. 조수석에서도 같은 것을 반복하여 넘기면 오픈이 되고 닫을 때는 역순으로 하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